백조자리 6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조자리 61은 백조자리에 있는 쌍성계로,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따라 명명되었다. 1838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이 연주 시차를 이용해 태양 외 별까지의 거리를 최초로 측정하여 '베셀 항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임스 브래들리가 1753년에 이중성임을 처음 기록했으며, 주세페 피아치가 고유 운동을 발견하여 '날아가는 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백조자리 61 A와 B는 각각 겉보기 등급 5.2와 6.1의 오렌지색 왜성으로, 서로 659년에 한 번 질량 중심을 공전하며, 지구에서 약 11광년 떨어져 있다. 과거에는 행성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부정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자리 BY형 변광성 - 글리제 581
글리제 581은 지구에서 20.3 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으로, 최소 6개의 행성을 거느린 행성계이며, 한때 글리제 581c가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해 주목받았고,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대상으로 2012년에는 거대한 파편 원반이 발견되었다. - 용자리 BY형 변광성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란)은 태양과 유사한 K형 주계열성으로, 행성 b와 두 개의 소행성대, 먼지 원반을 거느리고 있어 외계 행성 탐색의 주요 대상이다. - 국부 거품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국부 거품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백조자리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 백조자리 - 백조자리 X-1
백조자리 X-1은 블랙홀 후보로 여겨지는 밀집성과 청색 초거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5.6일 주기로 공전하며 강착 원반과 제트를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는 마이크로퀘이사이다.
백조자리 61 | |
---|---|
위치 정보 | |
명칭 | |
별칭 | 베셀별 |
식별 정보 | |
고유 명칭 | 글리제-야레스 목록 820 A/B, 스트루베 2758, ADS 14636, V1803 백조자리, GCTP 5077.00 (61 백조자리) |
61 Cygni A | V1803 백조자리, HD 201091, HIP 104214, HR 8085, BD+38°4343, LHS 62, SAO 70919 |
61 Cygni B | HD 201092, HIP 104217, HR 8086, BD+38°4344, LHS 63 |
관측 정보 (J2000.0) | |
별자리 | 백조자리 |
61 Cygni A 적경 | 21h 06m 53.9396s |
61 Cygni A 적위 | +38° 44′ 57.902″ |
61 Cygni A 겉보기 등급 | 5.21 |
61 Cygni B 적경 | 21h 06m 55.2638s |
61 Cygni B 적위 | +38° 44′ 31.359″ |
61 Cygni B 겉보기 등급 | 6.05 |
특징 | |
61 Cygni A 분광형 | K5V |
61 Cygni A B-V 색 지수 | +1.139 |
61 Cygni A U-B 색 지수 | +1.155 |
61 Cygni A 변광성 유형 | BY 드라코니스 변광성 |
61 Cygni B 분광형 | K7V |
61 Cygni B B-V 색 지수 | +1.320 |
61 Cygni B U-B 색 지수 | +1.242 |
61 Cygni B 변광성 유형 | 플레어 별 |
고유 운동 및 시선 속도 | |
61 Cygni A 시선 속도 | -65.97 ± 0.12 km/s |
61 Cygni A 고유 운동 (적경) | 4164.209 mas/yr |
61 Cygni A 고유 운동 (적위) | 3249.614 mas/yr |
61 Cygni A 연주 시차 | 285.9949 mas |
61 Cygni A 절대 등급 | 7.506 |
61 Cygni B 시선 속도 | -64.59 ± 0.12 km/s |
61 Cygni B 고유 운동 (적경) | 4105.976 mas/yr |
61 Cygni B 고유 운동 (적위) | 3155.942 mas/yr |
61 Cygni B 연주 시차 | 286.0054 mas |
61 Cygni B 절대 등급 | 8.228 |
궤도 요소 (61 Cygni B 기준) | |
공전 주기 | 678 ± 34 년 |
궤도 장반축 | 24.272 ± 0.592 초각 |
궤도 이심률 | 0.49 ± 0.03 |
궤도 경사 | 51 ± 2° |
승교점 경도 | 178 ± 2° |
근성점 통과 시기 | 1709 ± 16 년 |
근일점 인수 | 149 ± 6° |
물리적 특성 | |
61 Cygni A 질량 | 0.70 태양 질량 |
61 Cygni A 반지름 | 0.665 ± 0.005 태양 반지름 |
61 Cygni A 표면 중력 (log g) | 4.40 |
61 Cygni A 광도 | 0.153 ± 0.01 태양 광도 |
61 Cygni A 표면 온도 | 4,526 ± 66 K |
61 Cygni A 금속 함량 [Fe/H] | -0.20 |
61 Cygni A 자전 주기 | 35.54 ± 0.47 일 |
61 Cygni A 나이 | 6.1 ± 1 억 년 |
61 Cygni B 질량 | 0.63 태양 질량 |
61 Cygni B 반지름 | 0.595 ± 0.008 태양 반지름 |
61 Cygni B 표면 중력 (log g) | 4.20 |
61 Cygni B 광도 | 0.085 ± 0.007 태양 광도 |
61 Cygni B 표면 온도 | 4,077 ± 59 K |
61 Cygni B 금속 함량 [Fe/H] | -0.27 |
61 Cygni B 자전 주기 | 34.55 ± 0.57 일 |
61 Cygni B 나이 | 6.1 ± 1 억 년 |
2. 명칭
백조자리 61은 비교적 어두워 고대 별자리 지도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서구[5]나 중국[6]의 별 이름 목록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1792년 주세페 피아치는 제임스 브래들리가 40년 전에 관측한 결과와 자신의 백조자리 61 관측 결과를 비교하여 고유 운동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당대 천문학자들 사이에서 백조자리 61에 대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지속적인 관측이 이루어졌다.[13] 피아치는 1804년에 이 별의 운동에 대한 정확한 값을 발표하면서 "날아가는 별"이라고 명명했다.[14][15][16]
"61 Cygni"라는 이름은 존 플람스티드가 고안한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따른 것이다. 이 명명법에 따르면 특정 별자리의 별들은 바이어 명명법처럼 그리스 문자 순서가 아닌 적경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진다.[7][8] 이 별은 플램스티드의 ''Historia Coelestis Britannica''에는 해당 이름으로 등장하지 않지만,[9] 1712년판에서 그가 85 Cygni라고 언급한 별이 실제로 61 Cygni에 해당한다는 주장도 있다.[10] "베셀의 별" 또는 "피아치의 나는 별"이라고도 불린다.[11][12]
3. 관측 역사
1830년 프리드리히 게오르그 빌헬름 폰 스트루베는 이 별이 쌍성임을 발견했지만, 이후 한동안 이 별이 단순히 천구상에서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별인지, 아니면 실제로 중력에 의해 묶인 쌍성계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65]
1838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은 헬리오미터를 사용하여 백조자리 61의 연주 시차를 측정했고, 이를 통해 태양 외 별까지의 거리를 최초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13][19]
1911년 벤자민 보스는 백조자리 61이 이동 성단의 일원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밝혀진 이동성군의 항성 후보는 총 26개였으며, 비둘기자리 베타, 테이블산자리 파이, 황소자리 14, 처녀자리 68 등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이 항성군 구성원들의 우주 속도는 태양에 대해 초당 105 ~ 114킬로미터이다.[70]
이후 관측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정밀한 관측 및 연구가 가능해졌다.
3. 1. 초기 관측
1753년 9월 25일 제임스 브래들리가 백조자리 61이 이중성임을 최초로 기록하였다. 이후 윌리엄 허셜이 이중성에 대한 체계적인 관측을 시작했고, 이중성이 연주 시차를 통해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13]
1792년, 주세페 피아치는 브래들리의 관측과 자신의 관측 결과를 비교하여 백조자리 61의 높은 고유 운동을 발견했다. 이는 천문학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고, 지속적인 관측으로 이어졌다.[13] 피아치는 1804년에 이 별의 운동에 대한 정확한 값을 발표하고, "날으는 별"이라고 명명했다.[14][15][16]
피아치는 백조자리 61이 가장 가까운 별 중 하나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시차 측정을 통한 거리 결정 시도에 가장 적합한 후보로 꼽았다.[15] 백조자리 61의 고유 운동은 매우 커서, 지구에서 보면 150년 만에 보름달 지름만큼 이동한다.
연주 시차를 이용한 항성까지의 거리 측정 방법이 고안되자, 백조자리 61은 큰 고유 운동 덕분에 최적의 표적이 되었다. 1838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이 처음으로 백조자리 61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고, 현재 사용되는 값(11.4광년)에 매우 가까운 값을 얻었다. 이 때문에 백조자리 61은 '베셀 항성'으로도 불린다.
이후 글리제 1830이라는 더 큰 고유 운동을 가진 항성이 발견되었지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 중에서는 백조자리 61이 여전히 가장 큰 고유 운동을 가지고 있다.
3. 2. 연주 시차 측정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은 연주 시차를 이용하여 항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했고, 당시 알려진 항성 중 가장 큰 고유 운동을 가진 백조자리 61은 최적의 표적이 되었다. 백조자리 61은 태양을 제외하고 역사상 처음으로 지구와의 거리가 확정된 항성이 되었다.[13] 당시에는 고유 운동이 큰 별일수록 가깝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고유 운동이 큰 항성이 선택되었다. 이 업적은 1838년에 베셀에 의해 달성되었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11.4광년이라는 값에 매우 가까운 값을 산출해냈다. 이 때문에 백조자리 61은 그에게서 따온 '베셀 항성'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베셀은 1812년 이중성계에서 두 별의 공전주기를 400년으로 가정하고, 이에 필요한 두 별 사이의 거리를 추정한 다음, 별 사이의 각거리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했다. 이는 460 mas의 값으로 이어졌다. 1815년과 1816년 사이에는 다른 6개의 별과 비교하여 직접 시차 측정을 수행하여 760 mas와 1320 mas의 값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치는 이전의 다른 시도들과 마찬가지로 측정값보다 더 큰 부정확성을 보였다.[13]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가 새로운 유형의 헬리오미터를 발명했을 때, 베셀은 1837년과 1838년에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이 장치를 사용하여 다시 측정했다. 1838년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서,[17][18] 그는 백조자리 61A에 대해 369.0 ±19.1 mas, 백조자리 61B에 대해 260.5 ±18.8 mas의 값을 제시했고, 중심점을 313.6 ±13.6 mas로 추정했다. 이는 약 600,000 천문단위 또는 약 10.4광년에 해당한다. 이것은 태양 이외의 별까지의 거리를 직접적이고 신뢰할 수 있게 측정한 최초의 사례였다.[13][19] 그의 측정 결과는 같은 해에 프리드리히 게오르크 빌헬름 폰 스트루베가 베가에 대해, 토마스 헨더슨이 알파 센타우리에 대해 수행한 유사한 시차 측정 결과가 발표되기 직전에 발표되었다.[20] 베셀은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추가 측정을 계속하여 총 4번의 완전한 관측 실행 결과를 발표했으며, 마지막으로 1868년에 발표했다. 이 중 가장 좋은 결과는 1849년 관측에서 얻은 360.2 ±12.1 mas의 중심점이었다.[13] 이는 현재 받아들여지는 값인 287.18 mas(11.36 광년에 해당)와 가깝다.[21]
3. 3. 쌍성 관측
1917년 개선된 시차 측정 결과 백조자리 61 A와 B 사이의 거리가 가깝다는 것이 증명되었다.[24] 1934년에는 이 항성계가 쌍성이라는 것이 명확해졌고, 궤도 요소가 발표되었다.[25]
4. 항성계
백조자리 61은 주세페 피아치에 의해 '날아가는 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의 관측으로 천문학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830년 프리드리히 게오르그 빌헬름 폰 스트루베가 이 별이 쌍성임을 발견했다.[65] 이후 이 별이 실제로 중력으로 묶인 쌍성계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1934년 궤도 요소가 도출되면서 쌍성계임이 확실해졌다.[73]
백조자리 61은 시차법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한 첫 번째 별(태양 제외)로 기록되기도 했다. 1838년 베셀이 측정한 시차 값은 현재 밝혀진 값에 매우 근접했다.[66]
눈으로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백조자리 61은 실제로는 두 개의 주계열성(K형(오렌지색))인 백조자리 61 A와 백조자리 61 B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 두 별은 서로의 질량 중심을 659년에 1회 공전하며, 평균 84AU 떨어져 있다. 이는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84배에 해당한다. 두 별의 궤도 이심률은 0.48로, 가까울 때는 44AU까지 접근했다가 멀어질 때는 124AU까지 떨어진다.[77]
백조자리 61 항성계는 앞으로 2만 년 뒤 지구에 9광년까지 접근할 것이다.[75]
7×50 쌍안경을 이용하면 백조자리 61 항성계의 두 별을 분리하여 관찰할 수 있다. 두 별은 대략 토성의 시지름 정도인 16 ~ 20초 떨어져 있는데, 이는 쌍안경으로 식별할 수 있는 해상도의 능력 내에 있다.[81]
4. 1. 항성 A
백조자리 61 A는 백조자리 61 항성계의 주성으로, B보다 약간 더 질량이 크다. 태양의 흑점 활동 주기보다 더 뚜렷한 활동 주기를 보이는데, 간격은 7.5±1.7년 범위에서 복잡하게 바뀐다.[78] (종전의 관측값은 7.3년 주기였다)[79] 자전, 채층 활동, 흑점 활동 양상으로 볼 때 용자리 BY 변광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백조자리 61 A는 태양 질량의 약 70%, 지름의 72%, 광도의 약 8.5%를 가진다.[34] 1943년부터 K5 V형 주계열성의 "기준 별" 역할을 해왔다. A 성분에서 나오는 항성풍은 국부 성간 구름 내에 거품을 생성하는데, 이는 은하수 내에서 별의 운동 방향을 따라 30 AU(태양으로부터 해왕성의 궤도 거리) 정도까지 확장된다. 이는 백조자리 61의 두 성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으므로, 두 성분은 공통 대기를 공유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성층권의 밀도는 낮은 질량 유출과 상대적으로 높은 국부 성간 매질을 통한 속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41]
미분 회전으로 인해 이 별의 표면 회전 주기는 위도에 따라 27일에서 45일까지 다양하며, 평균 주기는 35일이다.
4. 2. 항성 B
61 Cygni B영어는 태양 질량의 약 63%, 지름의 67%를 가지며, 광도는 태양의 약 3.9%에 불과하다.[34] 1953년부터 K7 V형 주계열성의 표준성으로 간주되어 왔다.[35][36]백조자리 61 B는 플레어 폭발을 일으키는 변광성으로, 그 활동 주기는 11.7년이다.[40] 채층 활동량은 백조자리 61 A보다 25% 더 많다.[42] 미분 회전으로 인해 자전 주기는 위도에 따라 32일에서 47일까지 다양하며, 평균 주기는 38일이다.

5. 동반 천체 존재 가능성
카즈 스트랜드는 1942년 백조자리 A와 B의 궤도 움직임에 미묘한 떨림이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며, 주성 A 주위에 목성 질량 16배의 동반 천체가 존재한다고 추정했다.[83][44] 이는 할 클레멘트의 1953년 과학 소설 《중력의 사명》에 영감을 주었다.[45] 1957년 스트랜드는 동반 천체의 질량이 목성의 8배 정도이며, 공전 주기는 4.8년, 공전 궤도 반지름은 2.4천문단위라고 주장했다.[84][46] 1977년 풀코보 천문대의 소비에트 천문학자들은 백조자리 61 항성계에 세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47][48]
그러나 1978년 불프 디에터 하인츠는 이러한 주장이 잘못되었다고 반박했다.[85][49][50] 2018년 가이아 우주 망원경의 데이터 분석 결과, 백조자리 B 주위에 섭동을 일으키는 세 번째 천체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1]
맥도널드 천문대 연구팀은 두 별 주위에 특정 질량과 거리 범위 내 행성 존재에 대한 한계를 설정했다.[53] NASA는 두 별을 우주 간섭계 측정 미션의 '티어 1' 대상으로 지정했으며,[86][54] 이 미션은 어머니 항성에서 2천문단위 정도 떨어진, 지구 질량의 3배 정도 행성까지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백조자리 61 항성계 주위에서 적외선 초과 현상이 감지되었으나, 먼지 원반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87][55] 2011년 켁 간섭계 널러를 사용한 연구에서는 백조자리 A 주위에서 외계황도광 먼지를 감지하지 못했다.[56]
현재까지 도플러 분광법이나 통과법에 의한 관측에서는 두 항성 외에 동반 천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5. 1.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백조자리 61 A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은 0.26~0.58 AU이다. 백조자리 61 B의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은 0.24~0.50 AU이다.[52] 두 별은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Goddard Space Flight Center)의 지아다 아르니(Giada Arney)의 분석에 따르면, 진화된 생명체의 가능성이 높은 '적절한 위치'에 있는 K형 별 중 하나이다.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ADS 14636 AB -- Double or multipl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9-02-03
[2]
문서
By convention, limiting visual magnitude of 6.0
[3]
웹사이트
The Top 20 High Proper Motion
https://www.cosmos.e[...]
2019-06-27
[4]
논문
Detection limits from the McDonald Observatory planet search program
2006
[5]
서적
Star Names and Their Meanings
Kessinger
2003
[6]
서적
The Chinese Sky During the Han: Constellating Stars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Brill
1997
[7]
웹사이트
Naming Objects Outside the Solar System-Stars
http://www.iau.org/p[...]
IAU
2019-02-03
[8]
웹사이트
61 Cygni
http://stars.astro.i[...]
2009-07-08
[9]
서적
Historia Coelestis Britannica
https://books.google[...]
Meere
1725
[10]
서적
The Flamsteed Collection
https://books.google[...]
Clear Skies
1998
[11]
웹사이트
61 Cyg (Piazzi's Flying Star)
http://news.sky-map.[...]
2019-02-20
[12]
서적
Celestial Objects for Modern Telescopes: Practical Amateur Astronom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9-26
[13]
논문
The Parallax of 61 Cygni
1916-11-01
[14]
서적
Præcipuarum stellarum inerrantium positiones mediae ineunte seculo XIX: ex observationibus habitis in specula Panormitana ab anno 1792 ad annum 1802
https://books.google[...]
Typis regiis
1803
[15]
논문
Giuseppe Piazzi and the Discovery of the Proper Motion of 61-Cygni
1990
[16]
서적
Parallax: The Race to Measure the Cosmo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01
[17]
논문
On the parallax of 61 Cygni
[18]
논문
Bestimmung der Entfernung des 61sten Sterns des Schwans
https://zenodo.org/r[...]
2019-07-02
[19]
웹사이트
Friedrich Wilhelm Bessel
http://messier.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9-04-03
[20]
서적
Catchers of the Light
https://books.google[...]
ArtDeCiel Publishing
2012
[21]
논문
Bestimmung der Entfernung des 61sten Sterns des Schwans. Von Herrn Geheimen – Rath und Ritter Bessel
https://zenodo.org/r[...]
2019-07-02
[22]
웹사이트
High Proper Motion Stars: Interesting Areas to View
http://www.cosmos.es[...]
ESA
2015-06-14
[23]
논문
Remarks regarding the parallaxes of 61 Cygni and the probable physical connection of these two stars
1898
[24]
논문
The luminosities and parallaxes of five hundred stars
1917
[25]
논문
Second catalogue d'orbites d'Etoiles Doubles visuelles
1950
[26]
논문
Community of motion among several stars of large proper-motion
1911
[27]
논문
White dwarf members of the 61 Cygni group
1959
[28]
웹사이트
System Summary Pi Mensae
http://www.solstatio[...]
Sol Company
2015-05-01
[29]
웹사이트
Twelve Year Planetary Ephemeris: 1995–2006
http://eclipse.gsfc.[...]
NASA
2019-02-03
[30]
문서
Per the Rayleigh criterion:
[31]
뉴스
More Pretty Double Stars
http://www.skyandtel[...]
Sky and Telescope
2019-02-03
[32]
논문
Radio and X-ray emission from main-sequence K stars
1992
[33]
논문
Stellar Groups in the Old Disk Population
1969-10
[34]
웹사이트
61 Cygni
http://hyperphysics.[...]
HyperPhysics
2019-02-03
[35]
논문
Fundamental stellar photometry for standards of spectral type on the revised system of the Yerkes spectral atlas
1953
[36]
논문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1989-10-01
[37]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HD 201092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9-02-03
[38]
문서
At periapsis and apoapsis distances
[39]
논문
Wavelet Analysis of Chromospheric Activity
1997-01-01
[40]
논문
Evidence for coronal activity cycles on 61 Cygni A and B
2003-01-01
[41]
논문
Measured Mass-Loss Rates of Solar-like Stars as a Function of Age and Activity
2002-07-01
[42]
논문
Coronal activity cycles in 61 Cygni
2006-01-01
[43]
논문
Ages for Illustrative Field Stars Using Gyrochronology: Viability, Limitations, and Errors
2007-11-01
[44]
논문
61 Cygni as a Triple System
1943-01-01
[45]
서적
Science Fiction Voices #1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2019-02-03
[46]
논문
The orbital motion of 61 Cygni
1957-01-01
[47]
논문
The Lick planet search: detectability and mass thresholds
1999-01-01
[48]
논문
Invisible companions of the binary star 61 Cygni
1977-01-01
[49]
논문
Reexamination of suspected unresolved binaries
1978-01-01
[50]
논문
A search for Jupiter-mass companions to nearby stars
1995-01-01
[51]
논문
Stellar and substellar companions of nearby stars from Gaia DR2
[52]
논문
The Solar Neighborhood XXIX: The Habitable Real Estate of Our Nearest Stellar Neighbors
2013-10-01
[53]
논문
Detection Limits from the McDonald Observatory Planet Search Program
2006-05-01
[54]
웹사이트
SIM Planet Search Tier 1 Target Stars
http://tauceti.sfsu.[...]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2007-07-23
[55]
논문
An 11.6 Micron Keck Search for Exo-Zodiacal Dust
1998-01-01
[56]
논문
Exozodiacal Dust Levels for Nearby Main-sequence Stars: A Survey with the Keck Interferometer
2011-06-01
[57]
웹인용
SIMBAD Query Result: V* V1803 Cyg -- Variable of BY Dra type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7-07-15
[58]
웹인용
SIMBAD Query Result: NSV 13546 -- Flar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7-07-15
[59]
웹인용
List of the Nearest 100 Stellar Systems
http://joy.chara.gsu[...]
Research Consortium on Nearby Stars, Georgia State University
2007-07-15
[60]
논문
Predicted infrared brightness of stars within 25 parsecs of the sun
http://adsabs.harvar[...]
2007-09-05
[61]
논문
Stars within 15 Parsecs: Abundances for a Northern Sample
http://adsabs.harvar[...]
[62]
서적
천문학의 역사 (A History of Astronomy)
Courier Dover Publications
[63]
서적
시차:우주를 측정하기 위한 경쟁 (Parallax: The Race to Measure the Cosmos)
W. H. Freeman
[64]
논문
주세페 피아치와 백조자리 61의 고유 운동 발견 (Giuseppe Piazzi and the Discovery of the Proper Motion of 61-Cygni)
http://adsabs.harvar[...]
2007-07-14
[65]
논문
백조자리 61의 시차 및 항성계 구성원의 물리적 연결을 고려한 비평 (Remarks regarding the parallaxes of 61 Cygni and the probable physical connection of these two stars)
http://adsabs.harvar[...]
2007-07-15
[66]
논문
Bestimmung der Entfernung des 61sten Sterns des Schwans. Von Herrn Geheimen - Rath und Ritter Bessel
http://adsabs.harvar[...]
2007-07-17
[67]
웹인용
고유 운동 수치가 큰 별들:관측하기에 흥미로운 영역 (High Proper Motion Stars: Interesting Areas to View)
http://www.rssd.esa.[...]
2007-07-16
[68]
문서
61 Cygni의 우주 속도 계산
[69]
논문
큰 고유 운동량을 갖는 여러 항성들 중의 이동성군 (Community of motion among several stars of large proper-motion)
http://adsabs.harvar[...]
2007-07-17
[70]
논문
백조자리 61 성군 중의 백색 왜성들 (White dwarf members of the 61 Cygni group)
http://adsabs.harvar[...]
2007-07-17
[71]
저널
Remarks regarding the parallaxes of 61 Cygni and the probable physical connection of these two stars
http://cdsads.u-stra[...]
2007-09-11
[72]
저널
500개 별들의 밝기와 시차
http://cdsads.u-stra[...]
2007-09-11
[73]
저널
Second catalogue d'orbites d'Etoiles Doubles visuelles
http://cdsads.u-stra[...]
2007-09-11
[74]
저널
Radio and X-ray emission from main-sequence K stars
http://adsabs.harvar[...]
2007-07-16
[75]
웹인용
Long-Term Stellar Motions, part 2: Shortcuts
http://www.astronexu[...]
The Astronomy Nexus
2007-10-21
[76]
저널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photospheric parameters and chemical abundances of 6 K-type stars
http://adsabs.harvar[...]
2007-07-25
[77]
문서
근성점과 원성점
[78]
저널
Wavelet Analysis of Chromospheric Activity
http://adsabs.harvar[...]
2007-07-15
[79]
저널
Evidence for coronal activity cycles on 61 Cygni A and B
http://adsabs.harvar[...]
2007-07-15
[80]
저널
Coronal activity cycles in 61 Cygni
http://adsabs.harvar[...]
2007-07-16
[81]
웹인용
Twelve Year Planetary Ephemeris: 1995 - 2006
http://sunearth.gsfc[...]
NASA
2007-07-25
[82]
문서
레일레이 기준
[83]
저널
61 Cygni as a Triple System
http://adsabs.harvar[...]
2007-07-15
[84]
저널
The orbital motion of 61 Cygni
http://adsabs.harvar[...]
2007-07-15
[85]
저널
Reexamination of suspected unresolved binaries
http://adsabs.harvar[...]
2007-07-15
[86]
웹인용
SIM Planet Search Tier 1 Target Stars
http://tauceti.sfsu.[...]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2007-07-23
[87]
저널
An 11.6 Micron Keck Search for Exo-Zodiacal Dust
http://adsabs.harvar[...]
2007-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